sub_top3
home > 고객센터 > 스포츠손상정보
 
 스포츠손상정보 어깨/팔꿈치/무릎/척추 수술병원입니다.

견갑골의 운동성이 왜 중요할까?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14-05-21 10:30 조회11,340회 댓글0건

본문

어깨 뒤쪽을 보면 양쪽에 날개뼈가 있다. 이것이 견갑골(scapula)이다.
견갑골은 어깨 뒤쪽에 붙어 주위 근육들에 의해 안정성과 가동성을 제공 받는다. 또한 견갑골 근육은 어깨 관절의 정상적인 기능을 위하여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견갑골의 동작은 여러 근육들이 다양하게 조절하고 있다. 특히 견갑골은 어깨에서 어떤 동작을 실행할 때 기반이 되기 때문에 어깨 보강운동을 시행하는데 있어서 견갑골 안정성 운동은 필수적이어야 한다. 하지만 전문적인 트레이너가 없는 팀 선수들은 견갑골 안정성 운동 방법을 모르거나 그 중요성을 인식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어깨 관절에서 안정된 견갑골과 불안정한 견갑골의 차이점을 쉽게 이해하려면 다음과 같이 설명 할 수 있는데 즉, 단단한 마운드에 피칭하는 것과 비가 와서 질퍽거리고 미끄러운 마운드에서 투구하는 상황과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단단한 마운드에서는 자연스럽고 효과적으로 투구 할 수 있지만, 질퍽하고 미끄러운 마운드에서는 근육이 잘 조절되지 않아 불필요한 힘이 많이 사용되고 비효율적인 동작들이 만들어지기 때문에 부상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그러므로 불안정한 견갑골을 가지고 있는 선수는 안정된 투구를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어깨 부상의 확률이 높다.

견갑골이 불안정하면 인접한 근육은 쉽게 피로해져 여러 가지 기능장애를 일으키며, 나아가 근육의 손상을 유발시킨다. 또한 피로 해진 근육은 팔을 들어 올리는 동작에서 팔과 견갑골의 비율에 변화가 생겨 투구 시 어깨와 상체 다른 부위까지 스트레스를 주게 된다. 이처럼 팔을 들어 올리는 동작에서 팔(상완골)이 2도 움직일 때, 견갑골은 1도의 움직임을 보임으로써 약 2:1 비율이 일어나게 된다. 만약 투구 시 이런 비율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면, 자연스런 어깨 동작이 제한되고 어깨 가동성에 문제가 생겨 결과적으로 좋은 투구를 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투수들은 누구나 좋은 투구 폼을 갖고 공을 던지길 원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몸 전체 각각의 연결고리에 의해서 에너지가 효율적으로 전달되고 모아져야 한다. 따라서 투구 동작의 분석은 선수의 능력 향상뿐 아니라 부상을 예방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OO선수는 팔꿈치가 낮다” 라든지 “OO선수는 앞쪽 어깨가 너무 일찍 열린다” 라는 식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일은 이젠 실증 날 지경이다. 특히 요즘은 현장에서 비디오 분석을 통하여 미세한 동작까지 찾아냄으로써 지도하는데 많은 효과를 보고 있다.

하지만 아무리 투구 동작을 교정해도 다시 공을 던지면 팔꿈치 높이가 그대로 낮아져 있거나, 보상 기전으로 다른 부위에서 문제가 발생되어 지도자들을 고민스럽게 할 때가 있다. 이럴 경우 어깨 뒤쪽의 견갑골을 자세히 살펴보면 새-날개(winging)처럼 되어 있는데, 이것은 견갑골 주변 근육 중 전거근(serratus anterior)이 약화되어 발생하는 것이다. 전거근은 견갑골을 몸 쪽으로 부착시켜줌으로써 안정성을 유지시켜주는데, 이것이 약화되면 투구 시 팔을 들어올리는 코킹 동작과 팔을 뻗는 가속 동작에서 견갑골 본래의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어 투구 동작에서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이처럼 투구 동작에서는 작은 차이에서도 그 결과가 크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견갑골 주변 근육의 중요성을 절대로 잊어서는 안될 것이다.

결국 잘못된 투구동작은 어깨 손상으로 이어지게 되고, 그 원인의 발생지는 바로 견갑골이라 할 수 있다. 이는 곧 투구 폼에 문제가 있는 선수는 견갑골 주변 근육의 부적절한 조화에서 시작되었다고 하여도 과언은 아니다. 또한 대부분 선수들은 어깨 운동 시 견갑골 안정성 운동을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시행하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좋은 야구선수가 부상으로 일찌감치 선수 생활을 마감하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는 모든 야구선수들이 견갑골 안정성에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며, 정확한 운동 방법을 숙지하여 안정된 투구는 물론 부상을 사전에 예방하여야 한다.

전거근 약화는 엎드려서 팔굽혀 펴기를 할 때나 벽을 향해 밀 때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 kka
  • face
  • blog
  • 페이스북
  • 수술상담
  • 010-4745-3373
  • 도수물리
    상담

  • 010-9576-5611
  • 카카오톡
    진료상담
  • 010-5032-3378
footer_copy